본문 바로가기

(16)
웹 6차 14주차 if와 비교연산자, 불리언을 이용하여 토글이라는 걸 만들 수 있다. 15주차 html에서는 같은지 다른지를 판별할 때 ===을 사용한다.  16주차c언어와 파이썬의 조건문과 큰 차이가 없다. document.write로 되어있는 부분을 한 번에 묶는다.  17주차 버튼에 id를 부여하여 값을 만들 수 있고, 이와 조건문을 사용하여 버튼을 하나로 만들 수 있다. 18주차리팩토링은 중복을 최대한 줄이는 것이다. this는 자기자신을 가리키는 것이기에 이를 이용하여 코드가 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var라는 변수를 이용하여 코드를 줄이는 것 또한 가능하다. 19주차반복문을 사용하여 색을 바꿀 수 있다.  22주차  반복문 내에서 배열을 사용할 때 +배열+ 형식으로 사용한다. 23주차 query..
웹 5주차 1주차 동적으로 사용자와 상호작용 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기술이 javascript이다 2주차 자바스크립트는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하는 언어이며 웹브라우저는 한 번 화면에 출력된다면 자기 자신을 바꿀 수 없다. 3주차javascript를 사용하려고 할 때는 쓴다고 선언을 해줘야한다. 1+1같은 동적 수행이 가능하다. 4주차on을 위주로 동작하는 코드들을 알아봤다. 이것들을 event라고 부른다. 5주차해당 페이지의 검사 창에서 콘솔을 열면, 해당 페이지에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6주차자바스크립트의 산술 연산자에는 +, -, *, /가 있다. 문자는 단어를 ' '  혹은 " "로 감싼다. ' '혹은 " "로 감싼 문자열 뒤에 .length를 붙이면 길이를 알려준다. .toUppercase()를..
웹 4주차 10강 div은 아무 의미 없이 디자인을 나타낼 때 쓰는 태그이다. 블록 레벨 엘리먼트이기 때문에 화면 전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span 태그 사용하면 글자에 해당하는 영역만큼을 사용할 수 있다. (인라인 엘리먼트) 1fr은 남은 화면을 1등분 하겠다는 뜻이다. 2fr이면 화면을 2등분한다. 현재 코드에서는 화면의 길이에서 150px을 빼고 남은 크기를 차지한다. 11강 지난 시간에 배웠던 것을 사용하여 코드를 수정해본다. 12강 반응형 디자인이란 화면의 크기에 따라 웹페이지의 각 요소들이 반응하여 동작한다. media screen을 활용하여 어떤 크기일 때 화면이 보일 지 안 보일지를 정할 수 있다. 13강 지난 번에 배웠던 것을 토대로 코드를 수정하여 화면에 따라 어떻게 보이는지 다르게 한다. 14강 ..
웹 3주 1주차 web이 처음 등장할 때 html만이 있었다 css는 더욱 web을 더욱 아름답게 보이기 위해서이다 2주차 사람들은 html을 꾸며보려 했지만 포기하고 css라는 언어를 만들었다. 라는 태그로 html의 문자 색을 바꿀 수 있다. 3주차 문장의 시작과 끝을 으로 감싸면 시작과 끝에 보이지 않는다 태그는 이 부분은 css언어를 사용하는거라고 말하는 것이다 css에서는 폰트의 색을 a { color:색깔; }으로 바꿀 수 있다(a태그의 폰트 색을 붉게 바꿈) 4주차 text-decoration: none;과 text-decoration: underline;을 이용해 밑줄을 치고 없앨 수 있다. ;은 문장과 문장을 구분해준다. 한 문장 안에서 style태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5주차 이제 모르는..
웹 2주차 WEB11 img라는 태그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삽입할 수 있다. src를 이용하여 넣고 싶은 사진을 가져올 수 있고, width를 이용하여 이미지의 크기를 정한다. src와 width는 속성이라 불리며 순서가 바뀌어도 괜찮다. WEB12 태그를 감싸는 태그인 과 이라는 태그가 있다. ol은 ordered list라는 뜻으로 항목들의 순서를 정해주며 ul은 unordered list로 순서를 만들지는 않는다. WEB13 제목은 태그로 감싼다. 본문을 어떻게 출력할지는 meta태그를 이용한다. 태그로는 본문을 묶고 태그로는 제목 등을 묶는다. 그리고 이것을 html태그로 다시 한 번 묶은 뒤 위에 을 붙인다. WEB14 태그를 이용하여 문장에 링크를 걸 수 있다. target="_blank"를 사용하면 기존..
웹 1주 WEB1 나를 코딩을 배우는 학생이 아닌, 코딩으로 문제를 해결해야하는 엔지니어로 생각해야한다. 이해력보다 중요한 건 공감력이다. WEB2 Youtube등의 사이트 탄생으로 무료 영상 공유가 가능해지며 엔터테이먼트 분야의 혁명적인 사건의 시작이 됐다. WEB3 만들기 전에 무엇을 만들 것인가를 설계하고 그려보는 과정을 기획이라고 하며 현업에서 이런 일을 하는 사람을 기획자라고 한다. WEB4 C, C++, 자바 등 다양한 언어들 중에서 웹페이지를 만드는 컴퓨터 언어는 html이다. WEB5 Hello world! 출력해보기 WEB6 두껍게 강조하기 위해서나 밑줄을 칠 때는 과 라는 태그를 사용해 단어를 감싼다. 이때 끝나는 부분에는 역슬래시를 사용해 마침표를 찍는다. WEB7 h1~h6까지 제목을 나타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