깃허브로 협업을 할 때는 Organization으로 하는 게 좋다.
your organization을 누른 뒤 new Organization을 해보겠다.
순서대로 따라가면 people을 눌렀을 때 invite member로 새로운 사람을 초대할 수 있다.
영상처럼 gitflowtest레파지토리를 만들어본다
만들어지고 난 뒤에 윗부분의 code들을 복사한다. 그 다음 바탕화면에 만든 폴더에 vs code로 터미널을 열고 복붙을 하면 이렇게 뜬다.
깃허브로 새로고침하면 바뀐 걸 알 수 있다
프로젝트에서 new project를 누르고 team으로 누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뜬다.
여기서 new issue를 눌러서 투두리스트같은 걸 만들 수 있다.
누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오른쪽에 담당할 사람, 어떤 부분을 의미하는지 라벨로 분리 등을 할 수 있다.
프로젝트 창으로 가면 no status라고 뜨고
왼쪽의 projects버튼에서 todo로 바꾸거나 그럴 수 있다. 저걸 바꾼 뒤 프로젝트를 보면 to do로 바뀐 걸 확인할 수 있다.
vs code에 다음과 같이 하면
git hub에 생성된 걸 볼 수 있다
만들어보고 확인한다
영상을 따라 치면
이렇게 나온다.
이 페이지에서 상세하게 작성해야된다
이 부분에서 왔다갔다하며 리뷰가 가능하다.
이슈에서도 기능 개발이 가능하다. 순서는 위와 같다 .
충돌할 경우?
1.일단 pull request를 한다
2.웹 에디터에서 쓸 것만 남겨둔다
로컬에서서는?
1.풀 리퀘스트 받고 머지하기
2.일단 푸쉬하기
3.커맨드라인 확인
4.vs code에서 쓸 것만 남겨두고 저장
5.다시 merge할 지 물어본다.
wiki:필요할 경우가 있으면 쓴다. 프로젝트를 설명하거나 그러는 설명서 용도
'C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1학기 C언어 1주차 (0) | 2025.03.16 |
---|---|
겨울 C언어 4주차 (0) | 2025.02.01 |
겨울 C언어 2주차 (0) | 2025.01.17 |
겨울 C언어 1주차 (0) | 2025.01.12 |
C언어 9주차 (0) | 2024.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