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단한 실습과 공부 방향
깃허브에서 레파지토리를 생성해준다, 그 뒤 create new file로 index.html이라는 파일을 만든 뒤 commit change를 눌러서 다음과 같은 정보를 저장해준다.
다른 사람에게 자신이 만든 github의 페이지를 보여주려고 한다면
Setting->page를 클릭 후 branch부분에서 None을 main으로 바꾼 뒤 save를 눌러준다.
이후 만들어진 page를 url부분에 넣으면 다음과 같이 나온다.
.
수정
수정하려면 키보드에서 .을 누른다. 그럼 이런 창이 뜬다. dev부분에 dev가 아닌 다른 게 있다면 com이 있다면 바꿔준다. com으로 바꾸면 아까의 레파지터리 화면으로 돌아간다.
이와 같이 수정한 뒤 왼쪽의 소스제어를 누르고 칸에 내용을 써준 뒤 체크표시를 누른다.
dev를 com으로 바꿔서 확인해보면 다음과 같이 수정됐다는 걸 알 수 있다.
Git과 Github
깃과 깃허브는 다르다.
Git:코드의 원본이나 변경 내역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GitHub:클라우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해준다.
Git
git --version:깃 버전 확인
git config --global user.email example@example:사용중인 깃허브 계정 입력
git config user.email:입력된 유저 메일 확인
git init:초기화 시키기
touch README.md:README.md라는 파일 생성. 이때 md는 마크다운이라는 뜻이다.
git add README.md: README.md라는 지정된 파일을 올린다.
git add . :파일 전체 올리기
git commit -m "first commit":커밋으로 버전을 수정할 수 있다.
git status:파일의 상태를 확인한다. 파일을 Untracked와 Tracked로 분류한다.
Untracked(관리대상 아님):파일 생성 후 git add를 한 번도 안함
Tracked(관리 대상):git이 관리하는 파일임을 의미한다.Unmodified, Modified, Staged 상태로 나타난다.
git diff::최근 commit한 내용과 현재 폴더의 변경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commit을 하려고 하면 다음과 같은 오류가 뜬다. add를 한 뒤 coimmit을 하라는 뜻이다. diff는 commit했다는 걸 출력해주지 않는다.
git log를 하면 commit내역을 보여준다.
touch .gitignore파일을 만들어서 비공개될 정보를 저장한다.
Github
만들 때 add README.md를 체크하지 않았다면 다음과 같은 절차로 만들어주면 된다.
협업하는 방식
A가 먼저 git에 git clone https://(이하생략) 을 입력해준다. 이렇게하면 해당 폴더의 내용을 다운받을 수 있다. git clone https://(이하생략) . 을 입력해주면 githubtestrepo안의 내용만 입력받는다. ( githubtestrepo라는 이름의 폴더도 입력받느냐의 차이)
setting을 누른 후 콜라보레이터 칸에서 add people버튼을 누른 후 협업할 사람의 아이디 또는 이메일을 적는다.
A가 수정할 내용을 add . , commit, push순으로 하여 깃허브에 올린다. git push는 업로드 명렁어다.
B가 git pull 명령어를 사용하여 깃허브의 내용을 다운받는다
B가 내용을 수정한 뒤 add . , commit, push순으로 하여 깃허브에 올린다.
A가 git pull을 사용하여 바뀐 사항을 확인한다.